가상기억장치(2)
-
세그먼테이션 기법 - 무대뽀로 쪼개는 페이징 기법을 보완
👍 세그먼테이션 기법이란? 페이징 기법은 가상기억장치 다중프로그래밍을 도와준 주역이다. 하지만 페이징 기법은 프로그램을 균일한 크기로 쪼개기 때문에, 그 조각에 현재 원하지 않는 기능이 있더라도 딸려오는 경우가 생긴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에는 통상 입력, 출력, 데이터베이스, 그래픽 등을 담당하는 기능이 줄지어 있는데, 어떤 페이지가 입력과 출력에 양다리를 걸치고 있다면 출력만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입력의 기능이 끼어들어가게 된다. 그래서 프로그램의 내용을 보고, 그 내용에 따라 프로그램을 나누어야 할 필요가 생겼고, 이를 해결해주는 것이 "세그먼테이션 기법"이다. 세그먼테이션 기법에서는 내용에 따라 나뉜 각 프로그램의 조각을 "세그먼트"라고 한다. 각 세그먼트는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만약 페이징에서처..
2020.06.30 -
가상기억장치 다중프로그래밍 - 보조기억장치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기
👍 이전까지의 기술 - 주기억장치의 다중프로그래밍 주기억장치의 다중프로그래밍방식은 주기억장치가 단 하나의 프로그램만을 다루어 CPU 이용률을 낮추는 한계를 보완했다. 즉 여러 프로그램을 같은 크기로 쪼갠 주기억장치(RAM)에 나누어 넣는 정적(고정)분할방식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쪼갠 주기억장치에 나누어 넣는 동적(가변)분할방식을 채택하여 여러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 이전 기술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하지만 주기억장치의 다중프로그래밍방식은 이름 그대로 주기억장치"만" 사용하는 것이다. 주기억장치만 사용한다면, 아무리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다고 해도, 계속 발전하는 소프트웨어가 필요로 하는 시스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어려워진다. 그렇다고 주기억장치를 늘리기에는 RAM의 가격 때문에 ..
2020.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