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ameter(2)
-
[Express Routing] Parameter를 이용한 URL 효율적 관리
웹을 개발할 때는 수많은 페이지를 만들고 이를 URL과 연동하여 관리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그 많은 페이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하는데, 여기서 효율적이라는 의미는 app.get() 같은 함수의 남발을 지양하는 것을 뜻한다. 물론 일일이 관리할 수야 있겠지. 하지만 /something/category/item... 처럼 점점 계층화되고 페이지가 더 많아진다면, 그만큼 그때마다 손봐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상황에 따라 유동적이고 경제적으로 대응할 방법이 필요해지고, Express에서 제공하는 Parameter는 이를 해결해준다. app.get('/posts/:id', function (req, res) { res.render('post') }) 만약 어떤 글의 주소가 루트 라우트에서 posts 경로를..
2020.05.12 -
[Swift] 함수에 인수가 뭐이리 많아? _ 는 무엇? (feat. Parameter vs Argument)
#1. 함수에 인수가 뭐이리 많아 보이는 경우 // 함수 정의부 func 함수이름(함수호출시사용할인수별명 실제인수이름: 인수데이터타입) { } // 함수 호출부 함수이름(함수호출시사용할인수별명: 인수데이터타입) #2. _가 껴있는 경우 // 함수 정의부 func 함수이름(_ 인수: 인수데이터타입) { } // 함수 호출부 함수이름(인수) 함수는 언어를 막론하고 친해질? 수 밖에 없는 타입인데, Swift에서는 사뭇 다른 함수 모양 때문에 혼란스러울 것이다. 왜냐하면 Swift에서는 다른 언어들과는 달리 함수이름 옆의 소괄호() 속에 뭔가 더 많이 들어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사실 이는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차원에서 Argument에 이름을 붙여주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Parameter와 Arg..
2020.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