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위험의 종류와 측정방법

2020. 7. 6. 11:49투자설계_INVESTMENT/3. 투자수익률과 위험

728x90
반응형

 

👍 투자와 위험

 

투자에서 "위험"은 반드시 손실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승일지 하락일지조차 불투명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우리는 미래를 예측할 수 없지만, 다양한 종목으로 구성한 포트폴리오의 위험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면 위험에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럼 투자에서 위험은 어떻게 측정하는지 알아봅시다.


👊 수익률의 분산과 표준편차𝜎 - 결과 값이 작을수록 변동폭이 작음

 

실제 시장에서 예상되는 "예상수익률(투자수익률)"과 경기국면에 따른 "기대수익률"의 편차를 제곱하여 다시 각 경기확률을 곱하여 분산을 계산합니다.

표준편차는 분산에 루트를 씌워 값을 작게 한 것이죠.

 

즉 예상수익률로부터 나의 기대수익률이 얼만큼 떨어져있느냐의 값이기 때문에, 표준편차가 클수록 변동폭이 커서 위험한 종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표준편차를 구한 후 다음 식의 𝜎에 대입하면, 기대수익률로부터 다음과 같은 범위로 변동할 확률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 ±1𝜎 : 68.27%
  • ±2𝜎 : 95.45%
  • ±3𝜎 : 99.73%

👊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 결과 값이 작을수록 내가 원하는 수익률 대비 떠안는 위험이 작음

 

어떤 두 자산이 있을 때, 하나는 위험과 수익률이 낮고 다른 하나는 위험과 수익률이 높다고 해봅시다.

이때 둘중 어느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더 합리적인지 판단할 수 있는 도구가 변동계수입니다.

변동계수 = 𝜎(자산수익률의 표준편차) / 자산의 평균(기대)수익률

 

예를 들어 다음 두 펀드가 있다고 해봅시다.

펀드 평균수익률 표준편차
A 8% 10%
B 10% 12%

펀드 A와 B의 변동계수는 각각 1.25와 1.2입니다.

이 말은 내가 원하는 기대수익률 1단위를 얻기 위해 감수해야 할 리스크가 각각 1.25와 1.2라는 의미이므로, 변동계수가 작을수록 좋습니다.


👊 두 자산 수익률 간의 공분산과 상관계수 - 결과 값이 작을수록 분산투자효과 큼

 

만약 내가 구성한 포트폴리오에 변동추세가 비슷한 종목들이 있다면 분산투자로서의 가치가 별로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전염병으로 여행산업이 힘든 상황에서는 어느 항공사이든 비슷한 추세를 보이기 때문에 차라리 한 회사로 몰아서 투자하는 것이 낫습니다.

이렇게 서로 다른 두 자산이 서로 비슷하게 움직이는지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지 알려주는 지표가 "공분산"과 "상관계수"입니다.

공분산의 값이 양수이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종목, 음수이면 각각 평균수익률 기준으로 위/아래에 위치함을 알려줍니다.

하지만 공분산은 값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무에서는 정확한 비교를 위해서 -1~1의 범위로 통일한 상관계수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보통 두 자산 간 비교하기보다는 시장수익률과 개별자산의 상관계수를 구합니다.

상관계수가 +1이면 시장과 완전히 똑같이 움직이는 종목이기 때문에 현실에 존재하지 않으며, -1이면 마찬가지로 완전히 반대로 움직이는 종목이기 때문에 현실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상관계수가 0이면 시장의 흐름과 아무 관계가 없는 자산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투자할 때 상관계수의 값이 제각각인 여러 자산을 포트폴리오로 구성한다면 분산투자의 효과를 제대로 볼 수 있습니다.


👍 체계적 위험과 비체계적 위험

 

지금까지 위에서 본 것은 분산투자를 통해 투자위험을 줄이는 방식이었습니다. 이렇게 분산투자를 통해 줄일 수 있는 위험을 "비체계적 위험"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일정 수준을 지나면 더 이상 분산투자만으로는 줄여지지 않는 시장위험이 있는데, 이를 "체계적 위험"이라고 합니다.

체계적 위험은 완전히 반대로 움직여서 위험을 0으로 상쇄할 수 있는 종목이란 세상에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존재합니다.

이를 줄일 수는 없지만, "베타계수"를 통해 위험률을 측정해 대비할 수 있습니다.


👊 베타계수 - 베타 값이 클수록 위험(상승 또는 하락폭이 큼)

 

베타계수란, 주식시장에 대한 개별주식의 민감도를 지표로 나타낸 것입니다.

예를 들어 𝛽 = 1.2 라면, 시장이 1만큼 변동할 때 해당 종목은 1.2만큼 변동하므로 위험종목으로 분류됩니다.

베타가 1보다 크면 수익률이 큰 만큼 손실도 똑같이 크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동 종목이 어느 날 전체 주식시장이 1% 상승했을 때 해당 종목 주가가 2% 상승했다면, 1.2%는 체계적 위험에 의한 상승이며 0.8%는 비체계적 위험에 의한 상승으로 구분합니다.

각 종목별 베타가 1보다 크면 위험하다고 하여 공격적 주식(하이베타)이라고 하며, 1보다 작으며 방어적 주식(로우베타)라고 합니다.

 

개별주식말고 내가 구성한 포트폴리오 전체의 베타(시장상황에 대한 변동률)는 다음과 같이 투자비중에 따른 가중평균으로 구합니다.

보유주식 투자비중(a) 베타계수(b) a X b
A 30% 0.8 0.24
B 20% 1.0 0.2
C 50% 1.2 0.6
합계 100%   1.04

 

우리는 개별주식의 베타 또는 포트폴리오의 베타를 가지고 내가 원하는 "요구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요구수익률 = 실질무위험이자율 + 인플레이션보상률 + 위험보상률

베타계수는 위 식에서 "위험보상률"에 영향을 줍니다.

위험보상률은 위험프리미엄이라고도 하는데, 투자자가 위험을 감수하기 때문에 명목무위험이자율(실질무위험이자율 + 인플레이션보상률)보다 더 받기를 요구하는 부분을 말합니다.

위험보상률 = 베타계수 X 주식시장의 위험프리미엄(주식시장의 기대수익률 - 주식시장의 명목무위험이자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