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4)
-
채권의 가치평가와 위험
👍 채권의 가치평가 주식에서 배당할인모형 또는 상대가치평가모형으로 내재가치를 평가했다면, 채권에서는 미래의 현금흐름을 내가 실제 매입한 시점부터의 수익률인 "채권수익률"로 나누어 현재가치로 환산합니다. 채권의 종류별로 절차를 알아봅시다. 👊 이표채 액면 : 1만원 만기 : 3년 표면이자율 : 5% 채권수익률 : 10% 경과기간 현금흐름 현재가치 1년 500 500 / (1+0.1) = 454.55 2년 500 500 / (1+0.1)^2 = 413.22 3년 10,500 10,500 / (1+0.1)^2 = 7,888.81 이표채의 현재가치 = 8756.58원 👊 할인채 액면 : 1만원 만기 : 2년 표면이자율 : 5% 채권수익률 : 8% 할인채의 현재가치 = 10,000 / (1+0.08)^2 = 8,..
2020.07.08 -
투자위험의 종류와 측정방법
👍 투자와 위험 투자에서 "위험"은 반드시 손실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승일지 하락일지조차 불투명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우리는 미래를 예측할 수 없지만, 다양한 종목으로 구성한 포트폴리오의 위험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면 위험에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럼 투자에서 위험은 어떻게 측정하는지 알아봅시다. 👊 수익률의 분산과 표준편차𝜎 - 결과 값이 작을수록 변동폭이 작음 실제 시장에서 예상되는 "예상수익률(투자수익률)"과 경기국면에 따른 "기대수익률"의 편차를 제곱하여 다시 각 경기확률을 곱하여 분산을 계산합니다. 표준편차는 분산에 루트를 씌워 값을 작게 한 것이죠. 즉 예상수익률로부터 나의 기대수익률이 얼만큼 떨어져있느냐의 값이기 때문에, 표준편차가 클수록 변동폭이 커서 위험한 종목이라고 ..
2020.07.06 -
수익과 위험의 개념 그리고 수익률
👍 예상 밖의 수익도 위험하다? 수익이란 투자에 대해 예상하는 결과 또는 실현된 결과를 말합니다. 반면 위험은 보험에서처럼 "불확실함"을 의미합니다. 2020/06/24 - [보험설계_INSURANCE/1. 위험과 보험] - 위험이란 내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 높은 수익이 나더라도 언제든 다시 하락할 수 있으므로 "위험"하다고 보는 것이지요. 따라서 내가 더 높은 수익을 내려면 더 많은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서는 지급하였거나 지급하여야 할 금전 등의 총액이, 회수하였거나 회수하여야 할 금전 등의 총액을 초과하게 될 위험을 "투자성이 있다"고 표현합니다. 참고로 투자에서 위험은 표준편차로 계산합니다. 👍 수익률 계산하기 수익률이란 투자한 자본에 대한 수익의 비율로써,..
2020.07.05 -
위험이란
👍 위험이란? 위험 = 확실하지 않은 것 보험에서 말하는 위험은 "불확실성"과 같습니다. 주가하락, 오류, 사고라 하더라도 확실히 일어난다면 위험이 아닙니다. 긍정적인 상황이라도 일어날지 안 일어날지 불확실하다면 그것 또한 위험입니다. 현대 보험은 원치않는 위험을 관리하는 하나의 도구로 작용합니다. 👊 위험의 유사개념 🙌 손인 손해의 원인.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는 우연한 사건(자연적, 인적, 경제적 손인) 🙌 위태 손실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새로 만들거나 "증가"시키는 행위/여건 물리적 위태 : 목조건물은 불에 더 잘 탄다, 빙판도로는 잘 미끄러진다 도덕적 위태 : 고의적. 사기 등 범죄 정신적 위태 : 무의식적. 부주의, 풍기문란, 졸음운전 등 생활습관 법률적 위태 : 같은 상황이라도 사회/국가/주 등에..
2020.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