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보험의 각종 요금 산출

2020. 6. 30. 13:30보험설계_INSURANCE/4. 보험제도와 보험상품

728x90
반응형

 

👍 보험료 산출하기

보험료를 구성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망률 또는 위험률(위험보험료)
  • 예정이율(저축보험료)
  • 사업비율(부가보험료)

보험료를 산출할 때는 "수지상등원칙"을 지켜야 하며, 수입과 지출 모두 현가(계약 현재 시점의 가격)로 환산하고 서로 같아야 합니다.

수입(보험료)의 현가 = 지출(보험금)의 현가

 

예를 들어 40세 남자 10만명이 생명보험에 가입하였고, 보험가입금액이 10만원이며, 이중 100명이 1년 후 사망한다고 가정합시다.
수입의 현가 = 100,000 X P(보험료)
지출의 현가 = 100 X 10만원(보험금) ÷ 1.04(예정이율)
이때 보험료 P는 96.1만원이 됩니다.

👍 사망보험가입금액 산정

 

👊 생애가치방법

사망하게 되면서 함께 사라질 장래소득의 추정치를 할인율을 적용하여 가입금액으로 간주하는 방식입니다.

소비지출과 소득세분을 차감한 순소득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그러나 공적연금제도를 통해 수령할 수 있는 소득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현실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습니다.

 

👊 니즈분석방법

유족들이 필요로 하는 자금의 종류와 규모(주택담보대출원리금상환, 자녀교육자금, 생계자금, 적응기간필요소득(1~2년간 가장과 동일한 수준의 소득) 등)를 현재시점에서 파악하는 방식입니다.

공적연금을 반영하며 다양한 항목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일반인들의 이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자본보유방법

유족이 보유한 자산의 원본(원금)을 보존할 수 있도록 사망보험가입금액을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필요자금 이외에 유족의 여유자금/상속재원을 위해 사용되지요.

원금 +알파로 이자까지 이용하므로 니즈분석방법에서 예측치를 초과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본을 보존하는 만큼 필요로 하는 가입금액이 커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보험설계_INSURANCE > 4. 보험제도와 보험상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해보험 #2 - 장기손해보험  (0) 2020.07.01
손해보험 #1 - 재산보험  (0) 2020.07.01
제3보험(신체에 대한 보험)  (0) 2020.06.30
생명보험  (1) 2020.06.30
사회보장제도  (0) 2020.06.29